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854)
G7 정상회담에서 살펴본 미국과 일본의 경제 정치 밀월관계 G7은 어떤 나라들이 들어가 있을까요?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입니다. 예전에는 러시아도 G7에 들어가 있었으나 크림반도 침략 이후로 G7에서 탈퇴당했습니다. 전부 다 NATO 회원국들과 친미적인 성향을 가진 국가로 볼 수 있습니다. 반대급부의 Brics 이와는 또 반대급부로 모인 국가들도 있습니다. BRICS라고 불리는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공입니다 우리나라는 어디에 있을까요. 아쉽게도 우리나라는 어디에도 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가장 큰 쟁점은 미중 무역전쟁 최근 트럼프는 중국과의 무역전쟁에서 관세를 10%에서 15%를 올리겠다고 트위터에 선전포고를 하고서는 대통령이 미국 기업들에게 중국에서 당장 나와서 대안을 찾을 것을 명령했습니다. 이제 중국에서 너무 많이..
수소경제 글로벌 밸류체인에 탈 수있을까? 장밋빛 수소경제 로드맵 대체 뭐길래? 올해 초에 국가적으로 대통령을 포함해서 수소경제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내용을 살펴보자면 2022년 대 까지 수소차를 연간 8만 대를 만들겠다고 하면서 2040년까지는 연간 620만 대의 수소차를 만들겠다고 이야기합니다. 현대차의 70% 이상의 차를 대부분 수소차로 만들겠다는 계획입니다. 이게 로드맵이니까 계획대로 되리라는 보장은 없지만 말 뿐이라도 대한민국의 문재인 정부가 남은 기간 동안은 계속 수소경제를 밀겠다는 것입니다. 수소경제 글로벌 리딩 국가가 되겠다는 정부의 야심이 무엇인지 오늘 알아보겠습니다. 수소경제란? 수소경제는 우주에서 가장 흔한 원소인 수소를 자동차와 발전을 비롯한 모든 기기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경제시스템으로 재 편성하겠다는 것입니다. ..
피자 VS 치킨 1인 가구와 외식트렌드의 변화 피자와 치킨의 전쟁 치킨의 승리로 기울어져 오늘 다뤄볼 주제는 우리가 다 답을 알고 있는 이야기입니다. 치킨과 피자의 전쟁에서 누가 이겼느냐?입니다. 다들 아시듯이 당연히 이 게임의 승자는 치킨입니다. 먼저 피자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살펴봅시다. 그 유명한 피자헛 요즘 거리에서 보이십니까? 피자헛은 더 이상 거리에서 보기 힘든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미스터 피자는 어떻게 되었나요? 회장님의 갑질 이후로 엄청 떨어졌지요? 그러나 여전히 상승하고 있는 집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바로 도미노피자입니다. 도미노 피자만 나홀로 매출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1인 가구 증가와 외식 트렌드의 변화 먼저 옛날 피자헛과 미스터피자를 생각해봅시다. 다시 돌아본다면 예전에 피자헛은 꽤 비쌌습니다. 과거에 피자헛은 특별한 날 가족이나..
저금리 시대에 자본을 어떻게 만들까? 신세한탄 내 집은 어디에 오늘은 신세한탄을 좀 하겠습니다. 바로 집값이지요. 집을 도대체 언제 사야 했을까요? 이제는 우리가 과거를 알 수 있으니까 2008년 이후 지난 10년간 집값이 어마어마하게 올랐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작년 2018년의 집값은 정말 미친 듯이 올랐습니다. 마포와 용산은 무려 25%가 올랐습니다. 초 저금리 시대 현재 우리나라의 금리는 2%도 되지않습니다. 제가 어렸을때에는 금리가 10%대였습니다. 월급을 꼬박꼬박 적금에 부으면 돈이 금방금방 이자가 붙어서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시대였습니다. 우리보다 항상 앞서가고 있는 일본의 경우에는 0%를 몇 년째 계속 유지하고 있지요 이러한 저금리 사회에서 돈을 어떻게 벌 까요? 돈이 나오는 시스템을 만들어라 남이 일하는 것을 내 걸로 만..
웅진에너지 상장폐지 눈물의 태양광 산업의 미래는? 웅진에너지 파산위기 태양광에너지 패널에 웅진 그룹의 총력이 들어갔던 웅진에너지가 드디어 상장 폐지를 했습니다. 오늘은 눈물없이 들을 수 없는 스토리 웅진그룹과 웅진에너지에 대해서 얘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전에 웅진하면 웅진 코웨이를 기반으로, 웅진식품, 웅진싱크빅 등 알토란 같은 회사들을 여럿 거느린 재벌 중에 하나였지요. 웅진의 회장 윤석금 회장님은 사실 백과사전을 팔던 영업사원으로 유명합니다. 자수성가로 대기업을 일군 몇 안되는 분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윤석금 회장님의 웅진은 힘겨운 나날들을 보내고 있습니다. 웅진 최대의 실수 극동건설 인수 웅진이 기울기 시작한 때를 거슬러 올라가자면 론스타가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적대적 M&A를 하던 시절을 돌아봐야 합니다. 론스타가 공격적 M&A를 했던 ..
유가 폭등 사우디 아람코는 어떤 회사일까? 왜 공격을 받았을까 예맨 반군의 사우디 아람코 공격 그 이유와 현재 상황 살펴보기 최근에 뉴스 기사가 떴습니다. 사우디의 국영 석유시설 아람코가 예멘 반군의 드론 공격 테러를 받아 가동이 중단되었습니다. 불길이 치솟으면서 석유생산에 차질을 받자 세계 원유시장에서 국제 유가가 20% 가까이 폭등하게 되었습니다. 주유한 지 얼마 안 되었는데 또 기름값이 또 오를 것 같습니다. 속으로 웃고있는 미국 이번 테러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을 이번 테러공격의 배후로 지목하면서 강력히 비난했습니다. 세계 에너지 공급을 위해 비축되어 있는 기름 SPR을 활용하겠다고 이야기합니다. 사실 이 테러로 유가가 폭등하면서 가장 신난 것은 아마 미국일 것입니다. 그 이유는 지난번 셰일가스 혁명 편을 살펴보시면 쉽게 답이 나올 겁니다. 지난번 포스팅인 ..
넥슨 매각과 한국 게임산업 현황 넥슨이 매물로 나온 것은 우리나라 게임 시장에 엄청나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습니다. 그 이후에 넥슨 매각은 어떻게 되어가고 있을까요? 우리나라와 세계 게임 시장을 확인하면서 어떤 회사들이 넥슨 매수에 참여할것 같은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모바일로 막대한 부를 쌓고 있는 기존 게임업체들을 본다면 앞으로 대부분의 게임시장이 모바일로 전부 갈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2019년 국내 게임시장 트렌드 대한민국 과금유도의 끝판왕 엔씨소프트! 우리나라 게임의 현질 유도 유료과금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고도화되어있습니다. 제 주변에도 엔씨소프트의 그 유명한 리니지 모바일에 수십만 원부터 수천만 원까지 쓴 사람이 있을 정도니 말입니다. 한국 모바일 게임 시장이 2018년 매출규모가 4조 원인데 리니지..
쿠팡적자 1조원 묻고 더블로 간다! 쿠팡 적자 1조 원 달성! 쿠팡의 미스테리가 있다면 1년에 1조씩 영업적자를 내는데도 계속 사업을 이어나가는 것입니다. 2018년 쿠팡의 매출은 5조가 넘었습니다. 그리고 2018년에는 적자가 1조 970억 원으로서 드디어 한해 적자를 1조 원을 넘었습니다. 매출금액도 엄청나지만 손실은 더 엄청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쿠팡의 미래를 어떻게 예견하실지 모르겠습니다. 15년부터 17년까지 3년간 적자는 1조 7500억원인데 여기서 많은 여론은 해도 너무한 것이 아닌가 쿠팡이 얼마 버티지 못할 것이라고 얘기합니다. 그러나 쿠팡은 앞으로도 물류투자로 인한 적자이며 앞으로 더 큰 이익으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라고 얘기합니다. 이러한 출혈 경쟁에 쿠팡뿐만아니라 11번가 티몬 위메프 지마켓 등 대부분의 이커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