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54) 썸네일형 리스트형 기준금리에 대한 중학교 수준의 설명 자본주의와 금리의 관계 우리는 모두 자본주의에 살고 있습니다. 자본의 다른 말은 돈입니다. 결국 우리는 돈의 세상에서 살고 있습니다. 이 세계 즉 자본주의에 대해서 이해하지 않는 이상 세상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물건들이 시장에 나오면 가격이 붙습니다. 그렇다면 돈이 시장에 나오면 나오는 가격은 무엇일까요? 그것이 바로 오늘 다뤄볼 주제 "금리"입니다. 금리에 대한 중학생 정도의 수준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보았습니다. 우리가 금리를 처음 배운 순간 우리가 처음 금리를 접하게 되는 경로는 보통 은행에 적금을 들 때였을 겁니다. 제가 어렸을 때에는 은행 예금금리가 무려 10%가 넘었었는데요, 10만 원을 넣어두면 1년 뒤에 1만 원이 생길 정도였습니다. 이때부터 차곡차곡 돈을 은행에 넣어주면 복리가 붙.. 네이버는 침몰하고 있는가? - 2편 네이버는 몰락하고 있는가 2편 지난 시간에 네이버가 몰락하는 현 상황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또한 그 중요한 이유는 어디에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019/09/21 - [분류 전체보기] - 네이버는 침몰하고 있는가? 1편 네이버는 침몰하고 있는가? 1편 네이버의 위기설 안녕하세요. 오늘 다뤄볼 이야기는 네이버입니다. 저 또한 네이버를 정말 많이 사용하는데요 우리나라의 명실 상부한 대표 검색엔진으로서 한때는 영업이익이 1조원에 달할정도로 성공을 거둔 국.. infonavi.tistory.com 네이버는 현재 구글에 밀려 포털 검색 점유율을 놓치고 있으며 네이버의 중요 해외 실적 네이버 라인의 페이 서비스가 일본에서 치킨게임에 들어갔습니다. 게다가 수익셰어를 하지 않는 구조 때문에 네이버 블로그 카페.. 네이버는 침몰하고 있는가? 1편 네이버의 위기설 안녕하세요. 오늘 다뤄볼 이야기는 네이버입니다. 저 또한 네이버를 정말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명실상부한 대표 검색엔진으로써 한때는 영업이익이 1조 원에 달 할 정도로 성공을 거둔 국내 대표 포털사이트입니다. 이는 정말 이례적인 일인데요. 다른 나라들의 검색엔진 1, 2위 점유율을 비교한다면 대부분의 경우에는 미국의 대기업들이 대부분의 검색엔진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외국계 검색엔진의 무덤이라고 불릴 정도로. 많은 외국계 검색엔진들이 우리나라에 왔었지만 구글을 제외하고서는 대부분 검색엔진의 피눈물을 흘리며 몰락하게 되었습니다. 네이버의 검색점유율 그러나 이러한 네이버가 최근 위기설에 휩싸였습니다. 심상치 않을 정도로 네이버가 검색 점유율이 빠지고 있습니다. 네이.. 진짜 전쟁보다 무서운 환율전쟁 지금은 어떻게 흘러가고 있나? 공약을 잘 지키는 트럼프 아저씨 중국과 미국의 환율전쟁이 갈수록 격해지고 있습니다. 트럼프가 당선되면 외국에 나가 있는 미국 기업들을 다시 자국으로 들여오겠다고 하기도 하고 파리 기후협약을 탈퇴하겠다. 관세를 더욱 높이겠다는 것들이 실현되고 있습니다. 처음에 트럼프 아저씨가 이런 얘기를 했을 때 우리는 모두 그가 농담을 하는 줄 알았습니다. TV쇼에 나와서 실없는 이야기를 하는것처럼, 그냥 백인 노동층의 표를 의식해서 말로만 하는 소리겠지라고 웃어넘겼습니다. 우리나라 허경영 나왔던것과 비슷하지요. 그러나 그가 당선된 후 실제로 그는 공약을 정말 잘 지키는 사람이었습니다. 내건 공약을 하나씩 현실화시키자 슬슬 중국을 향해 대선 전에 이렇게 이야기했던 내용이 공포와 충격과 함께 재조명받고 있습니다. "나는 .. 두산건설발 두산그룹의 위기 잘 헤쳐나가나? 두산그룹의 위기 그 이유와 향후 전망은? 안녕하세요. 오늘은 두산그룹이 처한 위기에 대해서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두산 그룹은 우리나라에서 아주 오래된 기업 중 하나인데요. 무려 1896년에 조그만 박승직 상점이라는 이름으로 창업되었다고 합니다. 2019년을 기준으로 123년이나 된 회사인데요. 해방 이후에 동양맥주라는 이름으로 맥주를 팔던 소매 회사였습니다. 그러나 두산이 낙동강 페놀 유출 사건으로 엄청난 이미지의 그룹 전체가 흔들리며 소비재 산업을 철수했습니다. 그러고 나서는 소비재 시장보다는 조금 더 안정적인 중장비 쪽으로 기업의 방향을 틀게 됩니다. 한국 중공업과 대우 종합 기계를 인수하면서 두산 중공업 , 두산인프라코어를 만들었는데요 계속 해당 그룹이 성장하며 아주 성공적으로 기업의 전환을 안착시.. 말레이시아 시장개척 컨퍼런스 - 2부 신남방 시장개척 비즈니스 2부 안녕하세요 1부에 이어 2부로 말레이시아 시장개척 비즈니스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말레이시아의 시장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2번째 시간에는 실제 말레이시아에 진출하여 사업을 하기 위한 내용들을 다루어보았습니다. 말레이시아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서 알아야 할 내용들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더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말레이시아와 E커머스 E커머스 진출에 좋은 환경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이커머스 쇼핑몰은 바로 라자다입니다. 한국팀을 구성해서 한국 제품을 공략할 만큼 말레이시아는 인구의 80% 이상이 54세 이하의 젊은 인구인데요 일하고 소비하는 시장이라고 보면 됩니다. 한국 제품에 대한 수요가 많은 국가인데요 홈쇼핑 도 GS홈쇼핑, CJ오쇼핑, SK플래닛.. 2019 말레이시아 시장개척 컨퍼런스 1부 말레이시아 비즈니스 진출 콘퍼런스 오늘 저는 한국산업단지공단 키콕스 벤처센터에서 하는 말레이시아 신남방 비즈니스 교육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말레이시아 시장에 대한 이해와 진출 전략에 대해서 직접 와서 강의를 들었던 내용들을 요약하고 저처럼 수출 사업을 진행하시려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면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2위의 교역국가는 아세안 먼저 한국의 교역 수출 대상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나라의 교역 수출대상을 살펴보겠습니다. 가장 많은 수출과 수입을 하는 국가는 바로 중국입니다. 총교역량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1위는 중국입니다. 그리고 2위는 어디일까요? 미국이라고들 많이 생각하실 수 있을 텐데요. 단일 국가로서는 일본과 미국이지만 APEC 출범 이후에는 아세안이 EU를 제.. 배터리 시장 과연 제 2의 반도체가 될 수 있을까? 배터리 시장의 미래 사람들이 꿈과 희망을 갖고 있는 시장 이하나 있는데 바로 배터리입니다. 모두가 앞으로 더 커질것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시장이 최근 10년간 커진 이유 중 가장 큰 것은 바로 스마트폰의 보급입니다. 이제 핸드폰 보급율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면서 이제는 핸드폰 시장의 성장이 주춤한 상태입니다. 그러나 이게 끝이 아닙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규제와 기술발전으로 인해서 전기차가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핸드폰 때문에 배터리 시장이 이렇게나 많이 컸는데 자동차에 들어가는 배터리는 핸드폰의 배터리와 차원이 다를 정도로 많이 들어가겠지요? 오늘은 꿈과 희망의 전기 배터리 시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자동차 VS 내연 자동차 아직까지는 사실 내연 자동차가 성능이 훨씬 좋습니다. 가격.. 이전 1 ···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